top of page
Research
-
약성이론한약의 효능은 오랜 세월을 거쳐 경험적으로 사용되어 오면서 ‘기미론’이라는 약성 이론으로 체계화되었다. 기미론은 약물치료의 근간이 되는 이론으로, 한약은 고유의 맛이나 성질에 의하여 효능을 발휘한다. 우리는 기미론에 바탕을 두고 신농본초경으로 비롯된 주요 본초 문헌들의 내용을 분석, 정리하여 한약이 우리 몸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연구한다. 한약재의 모든 전통 한의학 정보와 최신 약리, 성분, 감정 등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 통합, 해석하여 물질확보와 효능연구에 적용한다. 이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천연물신약 등에 필요한 산업용 천연물 소재를 발굴한다. 프로젝트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통한 한약약성의 해석, 교육부, 1996 – 1997
-
DNA 기원종 감별기원이란 한약재의 물질적인 속성으로 종, 약용부위, 채취시기, 가공방법, 년생 등으로 규정된다. 한약재는 10000여 종이 사용되며 90% 이상을 차지하는 식물성 한약재들은 유사한 여러 종들이 함께 동일한 한약재로 쓰이는 경우가 흔하다. 그리고 식물은 종에 따라 함유성분이나 효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연구를 거쳐 기원을 정해야 한다. 한약재로 어떤 종을 사용해야 약효가 가장 높은지 알기 위해서 문헌을 고찰하고 기원식물을 정하는 것은 본초학의 중요 분야 중 하나이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약초재집을 하고 식물을 분류・동정하며 확증표본(Voucher Specimen)을 제작한다. 채집한 식물 종들의 성분이나 약리작용 비교들 통하여 올바른 기원을 정하는 일을 한다. 주요 한약자원 식물의 경우 본초원에서 직접 재배하고 있다. 생산지에서 재배하거나 채취한 한약재는 원상태로 사용할 수는 없다. 세정이나 절단 등의 가공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포제’ 또는 ‘법제’라고 한다. 포제 방법과 포제품의 규격, 포제 후의 독성이나 새로운 포제법 개발 등은 우리 연구실의 주된 관심사이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보건복지부 사업으로 북경 중의대와 함께 상용 한약재 200여 종의 전통포제법을 고찰하고 기준을 제시하여 그 결과물을 중국에서 책으로 출판하였다.
-
한약재 표준화한약재는 천연물이기 때문에 야생지, 재배방법, 가공방법 등에 따라 성분이나 효능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임상에서 일정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동일한 규격의 한약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약재마다 표준규격이 정해져야 한다. 우리는 한약재 중 성분과 약리작용을 연구하여 한약재를 평가하며 표준화한다. 프로젝트 녹용의 표준화 연구, 개발, BK21 사업, 2000 - 2001 생약한약재 품질 표준화 연구, 식품의약품안전본부, 1997 시판 한약재의 중금속 및 농약조사연구, 대한한의사협회, 1995 대조생약제조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동의보감 처방 및 약재 표준화를 통한 전통 천연물소재 library 구축, 교육과학기술부, 2013.09.01 - 2022.08.31
-
동의보감소재은행 (유전자동의보감)
-
한약포제연구프로젝트 한약재 수치법제의 규격화 연구, 보건복지부, 2000 - 2001 한약 유통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1999 – 2000
-
한의학산림치유프로젝트 한의학적 산림치유 개념 정립을 통한 한국형 산림치유 컨텐츠,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효과 규명, 산림청, 2010 – 2013
-
약선연구
-
중풍 신경보호 치료제 개발중풍은 뇌졸중이라고도 하는데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뇌혈관 장애이다.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입원환자의 약 85%를 차지하는 중풍은 예로부터 한방치료가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뇌혈관 장애가 오면 수 시간 내에 발생하는 뇌세포 사멸 억제제는 아직 세계적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효과적인 신경보호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신경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이 질환들에서 나타나는 병리현상들의 공통점은 신경세포가 활성산소나 염증반응 등에 의하여 세포 자연사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우리가 10여 년 간 교과부 프론티어 사업으로 개발한 혈관성 치매 치료제 HP012, HS024 등의 후보물질들은 H 제약회사, (주)뉴메드 등에 기술이전 되었다. 프로젝트 흰쥐 4-VO를 이용한 전뇌허혈 모델에서의 황련해독탕가미방의 신경보호 효과 연구, 보건복지부, 2000 – 2004 우황청심원의 효력시험에 관한 연구, BK21 사업, 2001 - 2002 특발성저신장증 치료 한약제제 개발, 보건복지부, 2014.06.01 - 2017.05.31 신경보호효과를 이용한 중풍치료 한약제제 개발, 보건복지부, 2011 – 2014 중풍치료제후보 HS024의 독성시험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 2010 – 2012 국가 자생식물로부터 신경보호 식의약품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 2000 - 2010 알츠하이머 질환 및 이와 관련된 뇌교세포 과민활성에 대한 한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BK21 사업, 2001 허혈성뇌손상에 대한 한약재의 신경세포 재생 및 보호효과 연구, BK21 사업, 2001 대학중점연구분야 특허맵 뇌신경 보호 및 중풍예방, 특허청, 2007
-
특발성저신장치료제 개발소아의 키성장은 성장판 내 연골세포들의 폭발적인 분화 및 발달증식에 의한 결과이기 때문에 성장발육 상태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건강의 지표이다. 한의학에서도 키가 크지 않는 것을 소아의 ‘오지(五遲)’ 중 하나로서 치료하여 왔다. 우리는 최초로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을 이용하여 성장판 라인을 형광염색함으로써 뼈의 성장률을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뼈 성장에 효과가 있는 성장 기능성 후보 물질 HT042를 개발하였으며, 또한 우리 대학 부속한방병원 소아과에서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기능성 소재 개발한약 단방 또는 복방의 약리작용을 연구한다. (주)뉴메드와의 산학협력을 통하여 공동개발한 iMED 플랫폼을 바탕으로 전통한의학과 현대과학을 접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신약, 건강기능식품, 천연물소재 등을 연구개발한다.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중풍, 치매 신경보호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발기부전 치료제 등 천연물신약이나 합성신약을 비롯하여 기억력 증진, 소아성장촉진, 관절 기능 개선, 기능성화장품원료, 갱년기 여성건강, 위기능개선, 다이어트, 배변활동, 콜레스테롤 저하 등 건강기능식품 후보물질 등이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한의학 이론에 입각하여 신(新) 한약재, 한약대체물질, 한방화장품, 천연소재 등을 개발한다. 이미 A사 한방화장품 ‘설화수’의 기본 처방인 ‘자음단’을 개발하였고, D사 한방약재주 ‘군주’의 기본처방, 서울우유 ‘자연의선물’ 천연소재, 롯데 성장캔디 천연소재 등을 개발하였다. 프로젝트 한약재로부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BK21 사업, 2010 – 2015 인지기능저하를 보이는 준건강인에 대한 HT008-1의 효과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 2010 - 2011 한약재를 이용한 소아 성장촉진제 개발에 관한 연구, BK21 사업, 2001
-
한방화장품 개발콩을 비롯한 한방본초자원을 활용한 주름개선 및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중소기업청, 2010 - 2012 전통한방 처방을 이용한 기초 및 기능성 한방 화장품 개발, BK21 사업, 2001 한의약처방서에 기재된 미용방에 관한 연구, 태평양기술연구원, 1997 한방 미용 본초 자원을 활용한 주름 개선 및 미백용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중소기업청, 2013 인삼의 미용효능에 관한 본초문헌 연구, BK21 사업, 2011 반룡칠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제품화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한약양약 상호작용Enter your answer here
-
한약 독성 부작용 연구한약재의 독성 및 부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사협회, 2003
bottom of page